시기와 상황에 따라 어떤 제초제를 어떻게 사용해야 할 것인지...
선택성 제초제 및 비선택성 제초제에 대한 설명...

현재 우리나라에서 잔디밭에 사용할 수 있도록 등록되어 있는 선택성제초제는 28종. 이들은 처리시기와 방제 가능한 잡초, 그리고 선택성 있는 잔디 품종에 따라 각기 다르고, 제형 또한 다르다. 효과를 높이려면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제형의 약을 사용해야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형에 따라서(입제, 수화제, 액제, 유제..)
1) 입제
-입제는 봉지나 플라스틱통에 담겨서 그냥 골고루 뿌리기만 하면 되는 제형이다. 입제는 고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잡초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는 기대하기 힘들지만 토양에 흡수되어 처리층을 형성해 지속적인 효과를 낸다. 입제 제초제는 토양에 녹아들어야만 효과가 있으므로 강한 비가 예상되는 날에는 뿌리지 말아야 하며 한 부분에 몰리게 되면 약해가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만일 토양이 지나치게 건조하면 소량의 물을 뿌려주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2) (액상, 입상)수화제, 액제, 유제
-위의 셋은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소정량의 물에 타서 뿌린다는 점에서는 똑같다. 액제는 그냥 물약으로 보면 되겠고, 수화제는 가루, 알맹이 또는 물약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물에 타서 사용하는 것이며, 유제는 유성(기름) 성분이 들어있어 물에 타면 약성분이 하얗게 퍼지는 약을 말하는 것이다. 이들은 모두 잡초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와 함께 토양에 스며들어 새로 나올 잡초를 억제하거나 약이 제대로 닿지 않은 잡초를 서서히 죽이는 역할을 함께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잔디밭의 전 면적에 골고루 뿌려주고, 잡초가 있는 부분은 잡초의 잎 모든 방향에 잘 맞도록 집중적으로 뿌려주어야 한다.  

작용하는 형태에 따라..
1) 발아 및 성장억제제 계열

대부분의 잔디밭 제초제는 거의 이 계열이라고 보면 될 정도로 가짓수가 많다. 이 종류의 약들은 잔디가 쉬고 있을 때. 그러니까 11월 초순부터 3월초~4월 하순까지의 기간동안 잡초도 함께 쉰다는 것에 착안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지하줄기나 씨앗, 알뿌리 등의 형태로 남아있는 잡초가 싹터서 자라지 못하도록 막는 것이 이 계열 제초제가 하는 일이다. 따라서 반드시 자라 있는 잡초는 뽑거나 깎아내고 약을 뿌려야 한다.
대표적인 제품 : 디멘존 수화제, 카이저 입제, 카소론 입제, 새그린 유제, 써프란 액상수화제

얼마 안 자란 잡초를 잡는다-초/중기 생육기 처리제 계열
이 종류의 약들은 잡초에 직접 작용함과 동시에 발아억제 작용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토양에 오래 남기 때문에 1년에 2번만 뿌리면 잡초가 나는 것을 강하게 막아준다. 대표적인 묘소 잡초인 바랭이가 잎이 3~5장이 될 시기가 가장 적절한데 여름이 오기 직전 늦봄, 그리고 겨울이 되기 전 추석절 전후가 방제적기. 고온기가 되면 약해가 생기기 쉽고 저온기에는 땅이 얼어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제품 : 파란들 입제/수화제, 그린큐 수화제, 애임 입상수화제

다 자란 녀석은 각개격파-후기 생육기 경엽처리 계열
피, 바랭이, 새포아풀 같은 화본과 잡초들은 웬만한 선택성제초제로는 잡기가 대단히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래서 나온 것이 바로 잡초 잎사귀에만 뿌려 잡는 경엽처리제 계열 약제들이다. 잡초의 지상부에 집중적으로 뿌리면 서서히 흡수되어 잡초를 죽인다. 또한 명아주, 냉이 같은 광엽계 잡초 전문 제초제도 있는데 대개 선택성제초제의 범위 밖에 있기 때문에 선택성제초제와 병용해 사용해야 한다.
대표적인 제품 : 아수록스 수용성입제, 매드시 유제, 반벨 액제, 뉴갈론 액제

끈질긴 녀석에겐 특수공격-비선택성 제초제
묘소 근처에 많이 사는 잡관목 중 가장 잡기 어려운 거라면 아카시아나무를 꼽는다. 아무리 베어내고 베어내도 돌아서면 무성한 아카시아. 비단 아카시아 뿐만이 아니라 묘소 주변 잡관목을 잡는 데에는 좀 특이한 방법이 필요하다. 바로 도포처리법인데 우선 아카시아나무 줄기를 낫으로 베어낸다. 그리고 베어낸 자리에 이행형 비선택성제초제인 글라신 액제를 븟으로 발라주고 비닐로 감아주면 보름에서 길게는 몇 달만에 서서히 아카시아나무를 죽일 수 있다.
대표적인 제품 : 근사미 액제, 라운드업 액제, 하이로드 액제

별수없으면 초토화가 약이다-비선택성 제초제
잡초가 너무 많아서 무슨 수도 쓰기가 곤란할 때 마지막으로 쓸 방법이라면 아예 비선택성 제초제를 잡초건 잔디건 안 가리고 다 뿌리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떼를 새로 입힐 계획이 있고 잡초가 지나치게 많아서 고민이라면 비선택성 제초제를 묘소 전면에 추천농도로 뿌리고 약 2주정도 뒤에 떼를 벗겨내고 새 떼를 입혀준다. 이 때는 그라목손과 같은 접촉형 비선택성제초제가 아닌 근사미와 같은 이행형 비선택성제초제를 써야 잡초의 뿌리까지 완전히 죽일 수 있다. 

by 쿠리다쿠리 2011. 7. 24. 01:31

제초제란 작물이 생장하는 데 있어서 방해가 되는 다른 식물을 죽이는 약제이다.
제초제는 논농사에 사용되는 수도용 제초제와 밭/과수원에 사용되는 원예용 제초제가 있다.
이중, 원예용 제초제는, 선택성제초제와 비선택성제초제로 나뉜다.

선택성제초제는 특정 작물에 대해 선택성이 있어서 작물에는 영향 없이 잡초만 죽이거나 싹트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이런 종류의 약은 효과가 늦기는 하지만 작물에 안전하고 효과가 오래 가는 특징이 있다.

비선택성제초제는 선택성제초제와는 다르게 선택성이 없기 때문에 일단 약을 맞게 되면 어떤 식물이든 다 죽인다. 이런 종류의 약은 잡초의 잎줄기에 완전히 맞아야만 효과가 있으며 접촉형의 경우에는 효과가 대단히 빠르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작물도 다같이 죽여버리기 때문에 생육기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 잎줄기나 어린 순, 과실 등에 약이 묻으면 약해가 일어나기 때문에 살포기술이 요구된다.

<이 두 가지 약을 구분하는 방법은, 농약 포장의 라벨이 노란색이면 선택성제초제이고, 빨간색이면 비선택성제초제이다. 그리고 비선택성제초제의 라벨에는 약제분류란에 '식물전멸제초제'라고 쓰여있으며, 라벨 바탕에는 '작물에 직접사용 엄금'이라는 경고마크가 있다.>

비선택성제초제는 또한 접촉형과 이행형으로 구분된다.
비선택성제초제의 작은 갈래 두 가지를 군대에 비유하자면 접촉형은 스나이퍼, 이행형은 게릴라부대에 해당할 것 같다 단 한 발로 적을 잡는 스나이퍼, 깊숙히 침투해서 적의 심부를 소탕하는 게릴라부대. 과연 이런 군대같이 비선택성제초제는 어떻게 작용할까?

접촉형은 약제가 잡초의 잎줄기에 닿으면 식물체 속으로 들어가 지상부만 말려죽인다. 반면 지하부의 뿌리로는 흡수되지 않아 뿌리는 그대로 남게 된다. 반면 이행형은 약제가 뿌려지면 지상부 잎줄기에서 지하부의 뿌리나 지하줄기까지 스며들어 잡초를 '머리부터 발끝까지' 완전히 죽이는 특성이 있다.

이 둘은 각기 장단점이 있다. 접촉형은 잎줄기에 우선 작용하기 때문에 작용속도가 매우 빠르다. 그래서 단기간 내에 신속히 잡초를 죽여야 할 때는 접촉형이 많이 쓰인다. 또한 접촉형은 지상부만 죽여 지하부의 뿌리를 남겨두기 때문에 우기에 토양유실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지하부의 뿌리들은 흙이 단단히 제 자리에 있도록 마치 건물의 철근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뿌리가 살아있으면 언제라도 잡초는 반드시 다시 난다는 것이 접촉형의 가장 큰 결점.

이행형은 약이 식물체 속으로 완전히 스며들어야만 효과를 내기 때문에 작용속도가 늦다. 하지만 뿌리부터 확실하게 잡초를 죽이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걸리더라도 잡초가 완벽하게 나지 않게 해야 할 때 사용된다.
http://blog.naver.com/gorush/23587320

by 쿠리다쿠리 2011. 7. 24. 01:05
추석이 가까워 오면서 많은 사람들이 벌초를 하기 위해 조상의 산소를 찾는다. 그러나 반기는 것은 잡초들 뿐이다. 이것을 대비하여 농촌진흥청(청장 : 손정수)에서는 효율적인 가을철 산소주변의 잔디 관리방법을 제시하여 도시민들에게 호응을 받고 있다.

농촌진흥청 산하 농업과학기술원 잡초관리과의 이인용박사에 의하면 가을철 산소주위에 발생하는 잡초는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피, 바랭이, 망초, 돌콩, 방동사니, 마디풀, 괭이밥, 쑥, 토끼풀, 애기수영, 제비꽃 등 10여종이 되며, 이들은 거의 대부분 여름철부터 계속 자란 잡초로 가을철에 종자가 떨어져 이듬해에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를 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가을철에 잔디를 잘 관리하면 월동잡초의 발생을 막을 수 있어 이듬해 봄에 파릇파릇한 잔디를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산소주위에 발생하는 잡초를 효율적으로 제거 또는 방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이미 발생된 잡초는 낫이나 예초기 등으로 제초하여야 한다. 벤 잡초는 종자가 산소주위에 떨어지지 않도록 걷어서 다른 곳에 버리는 것은 물론이다. 초여름에는 경엽처리제인 디캄바액제(상표명:반벨), 엠시피피액제, 트리클로피르티이에이액제(상표명:뉴갈론) 등으로 잎이 넓은 잡초를 방제하는 것이 효율적이나 가을철에는 먼저 발생한 잡초를 제거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발생한 잡초를 제거한 후에 토양처리형 제초제를 살포하여 토양 중에 있는 잡초종자나 월동잡초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토양처리형 제초제로는 크로닐입제(상표명:카소론), 후라자설푸론수화제와 입제(상표명:파란들) 등이 있다. 이들 제초제는 잔디 휴면기에 처리하는 것이 안전한 관계로 설날에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들 제초제가 추석 성묘할 때 사람에게 해를 주지 않을까하는 염려가 있지만 아무런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 의구심이 해소되지 않는다면 추석 성묘가 끝난 후 제초제를 산소주위에 뿌리면 된다.

그리고 산소주위에 띠나 아카시아가 있다면 가급적 제거하지 말고 흡수이행성 비선택성 제초제를 처리한 후 봄철에 제거하는 것이 좋다. 여기에 사용이 가능한 제초제로는 글라신액제(상표명:근사미, 라운드엎, 근자비, 글라신골드, 성보글라신, 풀엑스, 풀마타, 해솜글라신) 등이 대표적이다.

대부분의 식물과 마찬가지로 띠와 아카시아는 가을철에 동화작용의 산물을 뿌리 깊숙이 저장하여 월동하는 관계로 흡수이행성 비선택성 제초제를 처리하면 뿌리까지 흡수되어 겨울을 지나면서 고사되면 봄철에 제거하여도 된다.

일부는 봄철에 다시 잎이 나올 수 있으므로 잎이 나오는 것을 확인하고 다시 이들 제초제를 살포하면 완전히 방제할 수 있다. 흡수이행성 비선택성 제초제는 잔디도 죽일 수 있으므로 약제처리에 신중을 기해야 하며, 이때에는 띠나 아카시아에 그림물감용 붓으로 점적처리하는 방법이 좋다고 담당자는 당부하였다.

잡초관리과의 담당자는 “아무리 좋은 제초제라 하여도 잘못 사용하거나 남용할 경우에는 잔디에 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제초제 겉포장에 쓰여진 내용을 자세히 읽어 본 후에 사용하는 것이 차후에 일어날 수 있는 제반 문제들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by 쿠리다쿠리 2011. 7. 24. 0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