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어로 멧새요리를 오르토랑(Ortolan)이라고 하는데 실피드 드 오르뚤랑(Sylphides d' Ortolan: 멧세 실피드 요리) 등이 있다. 프랑스의 멧새요리는 매우 독특한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참새만한 크기의 멧새를 산채로 잡아 브랜디의 일종인 아르마냑에 담가 익사시킨 뒤 요리하는 것. 마구잡이 사냥으로 멧새의 숫자가 급감해 요즘은 매년 2만∼5만마리가 식탁에 오르고 있다.
전통적으로는 포획한 멧새를 암실에 넣고 어두운 곳에서  새가 절제를 못하고 음식을 섭취하여 3~4배의 크기가 되면 마르마냑에 담가 익시 시킨 뒤 오븐에 구워 머리만 빼고 통째로 먹는다.
르 몽드지는 멧새요리 애호가 중에는 프랑수아 미테랑 전대통령, 알랭 쥐페 전총리 등이 포함돼 있다고 덧붙였다.
by 쿠리다쿠리 2011. 8. 27. 14:57

가) 잔디밭 이끼식물 제거

- 발생 : 잔디가 쇠약, 통기불량, 습지, 산성토양, 음지, 비료 부족시 발생
- 방제 : 황산 제1철(FeSO4․(NH4)2 SO4을 30kg 또는 황산암모니움 제1철 Fe(NH4)2․SO4 45kg을 물 1,000ℓ에 녹여서 300평 (1,000㎡)에 관주 말라죽은 뒤 갈퀴로 긁어서 제거함.

나) 말류(조류) 제거
- 발생 : 습지, 양지, 비료분이 충분한 때 발생
- 방제 : 유산동(CuSO4) 1kg을 물 1,000ℓ에 녹여서 300평에 관주

다) 음지개선
- 한국 잔디는 음지에서는 녹아 없어지므로 1일 4.5시간 이상 햇볕이 쪼이도록 주위 나무를 제거하여주고, 교목은 5m 이상 가지치기한다.

라) 아카시아 도토리 나무 등 제거 - 근사미 또는 반벨 농약 살포(2항 참조)

마) 띠풀(삐삐풀 : 논벼잎 모양의 화분과 잡초) 또는 억새풀
- 파란들이란 제초제를 5~8월경에 5.10 : 6.20 : 7.30과 같이 40일 간격으로 년 2~3회씩 2~3년간 계속 살포(2~3년간에 6~9회 살포)하면 잔디는 약해가 없고 띠풀만 사라진다.
- 고무장갑 위에 실로 짠 면장갑을 덧 씌어 끼고 근사미 농약 희석액에 담가서 흠뻑 젖은 상태로 잡초의 잎과 줄기를 감싸서 ?어 주면서 약액을 듬뿍 묻혀(표면적 70%정도)주면 뿌리가 썩어서 죽는다.

바) 크로바 쑥 등 숙근성 잡초
- 근사미 농약 : 양력 2월 하순경(잔디 새싹이 조금이라도 보이는 시기는 잔디도 죽는다 : 근사미(2항 참조)에는 잔디가 깊은 잠에 들어있다. 이때에 근사미액을 무차별 살포하면 푸른색 잡초가 전멸된다.
- 반벨 농약 : 4~5월경에 살포한다(잔디는 안전하고 광엽잡초만 전멸한다). 크로바, 쑥 부위의 흙을 뿌리 없이 떼어내고 뗏장을 이식한다.

사) 잡초가 극심한 묘소
- 6월경 근사미 농약으로 잔디, 잡초 가리지 않고 전멸시킨다.
- 잡초 종자가 혼입 되지 아니한 산 흙을 3cm정도 두께로 객토 한 후 소석회를 300~500g/㎡ 섞은 후 파종 또는 뗏장을 이식한다.


2. 제초제 농약 사용 참고

가) 근사미(일명 글라신액 또는 라운드 업)
- 약의 특성 : 토양에 닿는 순간 분해되어 버리는 안전성 높은 농약이며 5년생 나무의 푸른색이 없는 몸체에서는 농약이 침투하지 못한다.
- 대상 잡초명 : 크로바, 쑥, 억새, 메꽃, 띄, 고사리, 씀박이, 실새풀, 바랭이, 싸리나무, 아카시아, 참나무, 산딸기, 넝쿨 등 잎이 녹색인 모든 식물(한국잔디전멸)
- 잡초 제거방법 : 1병 300㎖(㎖=cc=물1g)을 물 20ℓ(1두)에 희석하여 초지 300평(1,000㎡)에 100ℓ씩(5병분) 살포. 시기는 잡초가 30cm 정도 자란 6~7월경에 살포
- 아카시아나무, 참나무 등 제거방법 : 5~6월경에 나무를 베어낸 자리에 원액을 도배용 풀비로 흠뻑 묻혀준다.

나) 반벨(일명 디캄바)
- 약의 특성 : 토양내 잔류성이 강하므로 농경지 근처에서는 빗물이 흘러 내려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 대상 잡초 : 크로바, 질경이, 쇠뜨기, 모든 광엽 잡초(한국잔디, 화본과 잡초는 죽지 않음)
- 잡초 제거방법 : 1병 200㎖ 중 27㎖만 따라내어서 물 20ℓ(20,000㎖)에 희석(740배)하여 초지 300평에 150ℓ씩(1병분) 살포. 크로바, 쑥은 생육초기인 4월말경 기타 잡초는 5월경 살포한다.
- 아카시아 제거 : 5월경에 나무를 벤 자리에 원액을 풀비로 묻혀주거나 또는 나무를 베지 않은 상태에서 100배 희석액(잡초제거용)을 나무 가까운 주위를 따라 돌면서 300㎖씩 땅에 관주하면 뿌리로부터 흡수하여 죽는다.(희석액 20ℓ로 70주정도 죽일 수 있다.

다) 파란들(일명 후라자 설푸론제)
- 약의 특성 : 바람에 비산되면 약해 발생 물고기도 죽는다.
- 대상 잡초 : 한국 잔디 쇠뜨기만 죽지 않는다. 크로바, 쑥, 향부자 등 광엽잡초와 포아풀 등 월년 잡초, 방돈산이, 서양잔디 및 띄풀 등의 화본과 잡초 등이 죽는다.(오직 한국잔디만 안전함)
- 잡초제거 방법 : 1병 10g의 분말을 물 20ℓ에 녹여서 초지 300평에 200ℓ씩 (10병 100g) 6~8월경 살포
- 띄풀 등 화본과 숙근초 : 뿌리가 굵고 깊게 박힌 지하경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6, 8월 1회씩 3년간 총 6회 계속 살포
- 기타 잡초 : 바랭이 3엽기, 광엽초 5cm정도, 방동산이 5엽기, 포아풀 어느 때나 살포하면 제초효과가 탁월하다.

by 쿠리다쿠리 2011. 7. 27. 02:15
초는 봄부터 초여름, 가을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여름잡초는 4월 중순부터 발생이 시작되어 8월까지 계속되고, 겨울잡초는 9월 준순경부터 시작되어 약 2개월간 계속된다.
여름과 겨울의 최대 잡초는 각각 바랭이와 새포아풀이고, 이것을 중심으로 제초체계가 만들어진다.
일부 저관리지역에서는 질경이와 클로버, 망초, 민들레 등이 많이 발생된다.
잡초관리는 발생을 막는 것이 최우선책이다.
잡초는 뿌리가 땅 속으로 깊게 들어가 경엽이 딱딱하게 되면 토양처리제로 방제하기 어려우므로 발아기부터 1 ∼ 2엽기 정도까지 아주 작고 어린 기간에 토양처리제로 방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잡초는 일반적으로 발생이 눈에 띄기까지 2 ∼ 3주간, 적어도 2주 정도 전부터 발생이 시작되는데 봄에는 3월 초순에서 4월 중순, 가을에는 9월 상순부터 10월 하순으로, 이 기간내에 토양처리제를 살포한다. 토양처리제는 한가지 약제보다는 혼합제나 여러 종류의 제초제를 혼합하여 다양한 종류의 잡초 발생을 장기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잡초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나 오히려 잡초가 발생되어 있을 때는 경엽처리제로 고사시키거나, 경엽처리제와 토양처리제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봄부터 초여름의 토양처리는 잔디 맹아 후에 잡초 1엽기 이내에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들잔디의 잡초방제의 예시
① 3월초: 발아전 토양처리제 전면 살포 (캐치풀 0.04㎖/㎡ +스톰프 0.2㎖/㎡)
② 9월중순: 발아전 토양처리제 전면 살포 (캐치풀 0.04㎖/㎡ +스톰프 0.2㎖/㎡)
③ 여름철 부분살포: 파란들 0.015㎖/㎡ + MCPP 0.5㎖/㎡ + 갈론 0.15㎖/㎡
▶ 저관리지역에서 질경이와 클로버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③번과 같이 살포하면 된다.

제초제 사용방법
잡초가 많아지고, 손으로 제거하는 제초작업이 힘들어 지는 경우 잔디에 해를 주지 않고
잡초만을 선택적으로 시들게 하는 잔디전용 제초제가 유용하다.
제초제에는 경엽처리제와 토양처리제가 있다. 경엽처리제는 발아후의 잡초를 시들게 하는
타입이고, 잡초가 지나치게 커진 뒤에는 효력이 떨어진다. 토양처리제는 잡초종자의 발아를
억제시키는 타입으로 장기간 효력이 유지되지만, 이미 발아한 잡초에는 효력이 없다.
제초제로서는 토양처리제가 더 좋다. 여름잡초와 겨울잡초가 발아하기 전(4~5월, 9~10월)에 살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제초제 사용시 주의할 점
- 잔디의 종류에 따라서 적용여부를 파악할 것
- 잔디깎기 직후와 살포회수에 따른 약해 발생을 고려할 것
- 비가 내릴 듯한 날은 피할 것
- 바람이 없는 날을 선정할 것
- 개와 고양이 등 가축을 키우는 경우 주의할 것
- 제초제 사용 후 약효가 다할 때까지 아이들이 잔디밭에 들어가지 못하게 할 것
- 남은 약은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잘 보관할 것
- 중독이 되었을 경우 비눗물로 깨끗하게 씯고 신속히 119를 불러 병원으로 갈 것
기타 설명서를 잘 읽고 시행하면 된다.

잡초별 방제 방법
★ 냉이
  - 발생지 : 잔디밭, 길가, 들, 밭, 초지 및 산야, 과수원
  - 습성 : 종자로 번식하며 가을에 종자가 발아하며 월동한다.
    어린 식물체는 뿌리 윗부분에서 잎이 모아나는 근생엽 형태를 가진다.
  - 생태 :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보통 털과 별 모양의 털도 있다.
              경엽은 피침형이고 엽병이 없고 줄기는 지상으로 올라온다.
              겨울에는 로젯트형으로서 지면에 깔려있다. 꽃은 5∼6월에 피며 백색이다.
  - 방제법 : 캐치풀, 샤프트, 엠시피피, 밧사그란 등

★ 망초
  -발생지 : 잔디밭, 논밭둑, 밭, 과수원, 길가, 들
  -습성 : 종자로 번식하며 전국 각처의 원야지를 덮고 자라는 악질적인 귀화식물이다.
             종자가 완전 성숙하면 솜털처럼 생긴 관모가 달려 바람이 불거나 건드리면 멀리
             날아가 번식한다.
   -생태 : 줄기는 직립하고 긴 털이 밀생한다.
              근생엽은 주걱같은 피침형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꽃이 필 때 쓰러지며
              경생엽은 다닥다닥 달리고 밑부분은 도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고 위로 올라가면서 점차 작아져서 선형으로 된다. 꽃은 7∼8월에 핀다.
    - 방제법 : 생육기에 아수록스, MCPP, 반벨, 캐치풀, 뉴갈론, 밧사그란 등의 호르몬계 
               제초제를 사용하여 방제
★ 명아주
    - 발생지 : 잔디밭, 밭, 들, 인가근처, 빈터
    - 습성 : 종자로 번식하며 이른봄부터 발생하여 10월까지 생육하고 종자생산량이 많으며 
                 발아력이 강하다.
    - 생태 : 줄기는 직립하고 녹색불이 생기고 오래되면 경화된다.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긴편이고 삼각상난형이며 가장자리에 피형 톱니가 있으며
                중심부 가까이의 어린잎에는 붉은 빛이 도는 가루같은 돌기가 있다.
                 6∼7월에 개화하며 많은 황녹색의 가는 꽃이 밀생한다.
    - 방제법 : 파란들, 디멘존, 터프그린
★ 바랭이
    - 발생지 : 잔디밭, 밭, 밭둑, 과원, 길가 및 들
    - 습성 : 종자와 줄기포기나누기로 번식하며 줄기가 땅으로 길게 뻗어가면서
                줄기마디에서 새로운 뿌리가 내려 토양속의 유기물을 흡수, 세력을 확장시킴
    - 생태 : 줄기 밑부분이 지면으로 퍼지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나와 측지와 더불어 급격히
                왕성하게 되고 윗부분은 직립한다.
                엽초에는 털이 있고 개화직후부터 열매가 성숙된다.
    - 방제법 : 발생후 3∼4엽기에는 푸로레, 아수록스, 파란들을 경엽처리하면 유효하다
                (한지형잔디는 약해가 있으므로 유의).
                   바랭이의 발생 후 약제살포시기가 지연되었을 때에는 토양처리제에 경엽처리
                   제인 아수록스를 가용한다.
아수록스는 새롭게 발아하는 바랭이의 발아방지력이 없으므로 토양처리제(스톰프, 벤트그래스에 약해 있음)를 혼합 살포하면 재발생되는 바랭이를 고사시키고, 그 후에 발생되는 바랭이도 방제된다
★벼룩나물
    - 발생지 : 잔디밭, 길가, 밭, 답이작지 및 들
    - 습성 : 종자 및 줄기포기나누기에 의해 번식하며 가을에 종자가 발아하여 어린 식물로
                월동하며 종자상태로 여름을 나는 잡초이다.
    - 생태 : 줄기는 무모이며 옆으로 퍼지며 마치 총생한 것처럼 다수의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대생, 무병이며 타원형 또는 난상피침형 이며 예두, 회록색이고 부드럽다.
               꽃은 4∼5월에 피며 6월에 열매가 성숙된다.
    - 방제법 : 파란들, 디멘존, 터프그린, 푸로레 등
★새포아풀
    - 발생지 : 잔디밭, 길가, 밭, 밭둑 및 초지
    - 습성 : 종자 및 뿌리로 번식하며 군락을 이루며 자생한다.
    - 생태 : 가을에 싹이 나와 파란잎이 총생하며 이듬해 5∼6월에 꽃이 핀다. 잎에는 털이
                 없고 매끄러우며 끝이 둔하다.
    - 방제법 : 9월초∼11월말 잡초가 발생하기 전에 토양처리제 디치오피르 유제(디멘죤)을
                   균일하게 살포한다.
                   생육기 새포아풀 제거를 위해 12월에서 2월 사이에 즉 한국잔디 휴면기에
                   푸로레나 파란들을 경엽처리한다.
                    2~3엽기에 푸로레나 파란들을 경엽처리한다
    - 발생지 : 잔디밭, 밭, 길가, 제방, 과수원, 산야
    - 습성 : 포기나누기 및 포자에 의하여 번식하며 뿌리줄기가 길게 뻗으면서 마디에 새로
               운 싹을 틔운다.
    - 생태 : 지상부는 생식경과 영양경으로 구분된다.
                생식경은 이른 봄에 나와서 포자주머니를 형성하고 영양경은 봄부터 가을까지
                발생하며 줄기 속이 비어 있고 능선이 있으며 마디에는 비늘같은 잎이 윤생한다.
                5∼6월에 포자가 비산한다.
    - 방제법 : 생육기에 파란들, 아수록스, MCPP, 반벨, 뉴갈론 등의 호르몬계 제초제를
                  사용하여 방제
★쇠비름
    - 발생지 : 잔디밭, 밭, 과수원
    - 습성 : 종자 및 삽목에 의하여 번식하며 1주당 종자가 만개이상이 생산되어 퍼지므로
               항구적인 방제가 어려운 초종이다.
    - 생태 : 줄기는 전체가 육질이며 털은 없고 가지는 많이 갈라져서 비스듬히 지면을 따라
                옆으로 기면서 퍼진다.
                잎은 마주나거나 또는 어긋나기도 한다. 6∼9월에 꽃이 피고 8월부터 열매가 성
                숙된다.
    - 방제법 : 파란들, 디멘존, 캐치풀, 터프그린, 밧사그란
★ 쑥
    - 발생지 : 잔디밭, 밭, 과수원, 길가, 들
    - 습성 : 종자 및 뿌리줄기에 의한 포기나누기, 삽목에 의하여 번식하며 군락을 이루며 생육한다.
식물체가 도특한 향기를 가지고 있다.
    - 생태 : 많은 가지가 갈라지며 전체에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잎은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윗면에 흰털이 밀생한다.
                지하경은 3월상순부터 옆으로 뻗으면서 군데군데에서 싹이 나와 군생한다.
                꽃은 8∼10월에 피고 10월에 열매가 성숙한다.
    - 방제법 : 생육기에 파란들, 아수록스, MCPP, 반벨, 캐치풀, 뉴갈론, 밧사그란 등
                   호르몬계 제초제를 사용하여 방제.
★ 여뀌
    - 발생지 : 잔디밭, 밭, 논, 논둑, 과원 및 습지
    - 습성 : 종자로 번식하고 종자발아력이 강하며 습기가 많은 곳, 건조한 곳에서도 적응력
               이 강한 잡초이다.
    - 생태 : 가지가 있고 밑부분이 비스듬히 서며 연한 털이 나며 홍자색이 돈다.
                잎은 넓은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해지다가 둔해지며 밑부분이 좁고 양면에 털이
                있고 중앙부에 검은 반점이 있다.
                꽃은 5∼10월에 걸쳐 홍자색으로 피고 9∼10월에 열매가 성숙된다.
    - 방제법 : 파란들, 디멘존, 터프그린, 뉴갈론
★ 토끼풀(크로바)
    - 발생지 : 잔디밭, 밭, 논, 논둑, 과원 및 습지
    - 습성 : 종자와 포복경으로 번식하고 번식력이 강하다.
    - 생태 : 높이 20∼30cm이다. 포기 전체에 털이 없고,
                땅위로 벋어가는 줄기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고 잎이 드문드문 달린다.
                꽃은 6∼7월에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9월에 성숙된다.
    - 방제법 : 생육초기인 4월초까지 캐치풀, 디캄바액제(반벨), 밧사그란, 파란들을 살포.
                토끼풀이 대형 화된 경우에는 뉴가론과 MCPP를 조합하면 효과적이다.
by 쿠리다쿠리 2011. 7. 27. 0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