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YES24 채널예스 | http://www.yes24.com/chyes/ChyesView.aspx?title=001013&cont=6092
[희망의 인문학]정재승 교수가 만난 우리 시대 인문학자 - 역사학자 임지현 교수 편 ① “대한민국은 과연 바람직한 국가형태인가?”

Get Microsoft Silverlight
>『민족주의는 반역이다』 『우리 안의 파시즘』 『대중독재』로 알려진 역사학자 임지현 교수. 그에겐 ‘반민족주의 논객’이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닌다. 새로운 아젠다를 끊임없이 만들어내는 그의 열정은 어디서 나오는 걸까. 요즘 그는 트랜스 내셔널 인문학에 미쳐있다. 그가 소장으로 있는 한양대 비교역사문화연구소에서 시작하는 ‘트랜스 내셔널 인문학 과정’은 기존의 인문학과 다른 방향을 제시한다. 국가를 단위로 구획하는 기존의 인문학 커리큘럼을 대신하고, 인문학의 모든 영역을 소통하고 융합하는 탈학제적 시각을 보여주겠다는 기치(旗幟)다. 새로운 학문을 시작하는 임 교수의 말은 길었다. 과학자의 다양한 질문에 그는 열정적으로 답했다.


정: 선생님의 책은 제 역사관을 흔들어 놓았습니다. 꼭 여쭤보고 싶었는데요. 한국과 일본의 축구 경기를 볼 때, 어느 쪽을 응원하십니까?

임: “비슷한 질문을 받은 적이 있어요. 2002년 한국이 폴란드하고 개막전을 했잖아요. 그때 성균관 대학의 미야지마 히로시 선생이 물어보시더라고요. “임 선생님은 어느 팀을 응원하셨습니까?”라고요. 제가 답했죠. “당연히 한국이죠!” 폴란드사를 전공하긴 했지만, 국가대표 경기에서 다른 팀을 응원하기란 어려운 일이에요. 사실 월드컵이나 올림픽이라는 상황은 그 경기자체를 즐기기 보다는, 스포츠를 통해 내셔널리즘(Nationalism)을 강화하는 면이 있잖아요. 그러니, 한국을 응원하게 되죠.”

정: 저는 고민에 빠트리시고, 선생님은 즐기고 계셨군요!

임: “하하. 내셔널리즘은 교과서 또는 정치 커뮤니티만이 아니라, 우리가 즐기는 스포츠를 통해서도 작동한다고 생각해요. 누구보다도 내셔널리즘의 경계에 대해서 얘기를 하고, 비판적이지만 어느 팀을 응원하냐는 질문을 받으면 선뜻 “나는 폴란드사를 전공했고, 트랜스 내셔널리즘과 관련되었기 때문에 폴란드 팀을 응원 합니다”라는 말이 안 나와요.”

정: 그렇군요. 비교역사문화 연구소이야기를 해볼까요. 어떻게 시작되었나요.

임: “2004년 대중독재(Mass Dictatorship)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였죠. 국제학술대회를 하다 보니, 비교사적으로 접근하면 학문적으로 의미가 있겠다 싶었어요. 독일사를 독일친구보다 더 잘 알 수는 없지만 우리가 더 새롭게 볼 수는 있잖아요? “새롭게 보는 능력은 우리가 더 크다”라는 소박한 생각에서 출발했죠. ‘대중독재’라는 주제로 출발한 연구소라 할 수 있어요.” (...)
원문보기다른기사더보기YES24

by 쿠리다쿠리 2011. 6. 13. 19:17
출처 YES24 채널예스 | http://www.yes24.com/chyes/ChyesView.aspx?title=001013&cont=6093
[희망의 인문학]정재승 교수가 만난 우리 시대 인문학자 - 역사학자 임지현 교수 편② “이명박이 독재라고? 민주주의죠!”
본 인터뷰는 정재승 교수가 만난 우리 시대 인문학자 - 역사학자 임지현 교수 편 ①와 이어집니다.



정: 이제 대중독재에 대해 이야기해볼까요. 우리 사회와 뗄 수 없는 키워드인데요. 오히려 대중이 독재자를 원한다, 어떤 의미입니까?

임: “대중이 독재자를 원하기도 하고, 만들기도 합니다. ‘대중독재’에서 가장 중요한 건 대중의 자발적 참여입니다. 나치가 강력한 힘을 가질 수 있었던 건 사람들이 옳은 일이라고 생각하고 자발적으로 들어갔기 때문이죠.

저도 박정희 시대에 대학을 다닌 사람이기에, 억압을 경험했어요. 그런데 나중에 생각해 보니, 비판적 소수집단의 경험이지, 전체의 경험은 아닌 거예요.

어떻게 해야 과거를 청산할 수 있을까요? 예컨대 “박정희 나쁜 놈!” “유신잔당 처단해라!” “노태우 전두환 없애라!”고 외치면 독재라는 과거를 극복할 수 있을까요? 아니에요. 사실, 독재는 선거에서 나옵니다. 이명박 대통령 보고 왜 독재라고 해요? 민주주의죠. 정식 선거를 거쳐서 된 사람인데! 연구자에겐 중요한 문제가 있어요. 바로 우리는 누구였고, 왜 이런 대통령에게, 왜 그처럼 나쁜 체제에 표를 던졌는가를 물어야 하는 거죠.”



정: 독재자를 향한 대중의 심리는 무엇입니까? (...)
원문보기다른기사더보기YES24
by 쿠리다쿠리 2011. 6. 13. 19:04
by 쿠리다쿠리 2011. 6. 3. 17:07